다행히 요즘은 많이 없어졌지만, 예배를 시작할 때 인도자가 종을 세 번 치면서 “다같이 묵도함으로 예배를 시작하겠다”고 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었다. 물론 시대마다 조금씩 예배를 시작하는 첫 순서가 차이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속사도 시대에는 성경봉독으로 예배를 시작했고, 3~4세기에는 집례자가 “주께서 여러분과 함께”라고 하면, 회중들은 “또한 사제와 함께”라고 응답함으로 예배가 시작되었다. 동방교회나 카톨릭교회는 지금도 이렇게 예배를 시작하고 있다. 반면에 종교개혁자들은 회개의 기도와 사죄의 확신으로 예배를 시작했다. 주지하다시피 카톨릭교회에서는 미사를 드리기 전에 반드시 고해성사를 해야 했다 그러나 종교개혁자들은 카톨릭교회의 고해성사를 거부했기 때문에 그 대신 회개기도로 예배를 시작했다.
그러면 왜 한국교회는 묵도로 예배를 시작했는지 그 사연을 찾아볼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두 가지 설명이 가능한데, 하나는 우리나라의 많은 종교의식이나 국민의례를 시작할 때 머리를 숙이고 묵념을 하는 것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우리는 머리를 숙이고 묵념을 해야 일상의 행동이나 생각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기 때문에 예배를 시작하면서 묵도를 해야 예배에 집중할 수 있다고 생각했고, 그래서 자연스럽게 예배의 첫 순서로 자리를 잡게 된 것 같다.
두 번째는 예배를 시작하기 전에 교인들이 시끄럽게 떠드는 것을 조용하게 하는 방편으로 묵상기도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주일학교 어린 아이들처럼 예배를 시작하려고 하는데 교인들이 예배당인지 사랑방인지 구분하지 못하고 떠들어대니까 교인들을 조용히 시키는 방편으로 묵도를 사용했다.
이것과 함께 강대상에 종을 올려놓고 예배를 시작하면서 종을 보통 세 번 땡땡땡 치는 관행이 생겨났다. 처음에는 탁상용 작은 종을 놓고 쳤는데, 이것이 상품화 되면서 점점 커지고, 금으로 도금한 십자가까지 붙여서 강대상에 올라가 있는 경우들을 흔히 볼 수 있다.
물론 종교개혁시대에 개혁교회들이 마을에 세워졌을 때 교회에 큰 종탑을 세우고 예배 시간을 알리는 종을 쳤다. 지금도 서구 교회들이 대부분 종탑을 가지고 있고 특별한 행사를 할 때 종을 치고 있다. 우리 한국교회에서도 교회마다 종탑이 있었고, 예배시간을 알리는 초종과 재종을 쳤다. 특별히 새벽종소리에 대한 아름다운 향수들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강대상에 종을 올려놓고 예배를 시작하면서 종을 치는 것은 세계 그 어느 교회에서도 없는 것이다. 처음에 선교사들이 주일학교 아이들 조용히 시키면서 종을 치던 것이 습관처럼 전해져서 보통 종을 땡땡땡 세 번 치고, “묵상기도 드림으로 예배를 시작하겠다”고 하면서 예배를 시작하는 관행이 자리를 잡게 되었다. 이것은 분명히 잘못된 것이다.
개혁교회의 예배의 첫 번째 순서는 예배의 부름(The call to worship)이다. 오르간 전주가 끝날 때 쯤 예배인도자는 단에 올라서 “이제 다함께 신령과 진정으로 하나님께 예배를 드리겠습니다”라고 말하면 찬양대의 영광송이 나오고, 이어서 인도자가 성경 말씀(보통 시편말씀)을 몇 절 읽고, 이어서 개회기도를 드림으로 예배가 시작된다. 여기 개회기도는 예배를 위한 기도로 성령님께서 오셔서 예배를 인도해 주시고, 예배자들의 마음을 온전히 주장해 주셔서 하나님이 기뻐 받으시는 예배가 될 수 있도록 예배 자체를 위해 드리는 짧은 기도이다. 어떤 경우는 이 시간에 일반 기도와 같이 죄를 회개하고 성도들의 모든 필요를 구하는 경우들이 있다. 이것은 예배의 각 순서들이 가지고 있는 의미들을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는데서 오는 실수라고 할 수 있다.
이제 한국교회도 120년을 넘어서고 있다. 120년은 결코 짧은 역사라고 할 수 없는 시간이다. 그동안 예배신학적인 고민 없이 관행적으로 해 왔던 잘못 사용했던 용어와 습관들을 하나씩 바로 잡아서 바른 예배 모범을 회복하고, 후손들에게 계승해야 할 사명이 오늘 우리에게 있다.
[이 게시물은 CKSB님에 의해 2015-03-07 00:22:13 목회자료실에서 복사 됨]